시작하기

START LIAPP
APP 파일에 LIAPP을 적용하고 배포하는 절차는 간단합니다.
1. 앱 등록 및 설정      2. LIAPP 적용      3. 보호된 파일 다운로드      4. 테스트 후 배포

1. 앱 등록 및 설정
로그인 후 왼쪽에 보이는 NEW APP 버튼을 눌러 앱을 등록하고 보호 옵션을 설정합니다.
  - 앱이 설치될 OS와 패키지명을 입력
  - 앱 파일 등록
  - 분석 결과 확인 및 보호 옵션 설정
*앱 등록 방법 자세히 보기...

2. LIAPP 적용
왼쪽에 보이는 메뉴에서 PROTECT를 클릭하여 적용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왼쪽의 선택 상자에서 OS와 APP 이름 선택
  - 보호를 적용할 APP 파일 선택
  - 버튼을 눌러 APP 파일 업로드
  - LIAPP 적용 완료
 주의 : 티켓을 보유한 경우 PROTECT를 클릭하면 티켓이 사용되므로 PROTECT 이용 전 반드시 TEST를 먼저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LIAPP 적용 관련 내용 더 보기...

3. 보호된 파일 다운로드
LIAPP 적용이 완료된 APP 파일을 버튼을 눌러 저장합니다.

4. 테스트 후 배포
저장한 파일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고 배포합니다.
  - 서명(Signing)과 정렬(zipalign) 진행
  - 설치 및 동작 테스트 진행
  - 앱 등록 및 배포

*서명(Signing) & 정렬(zipalign)
LIAPP을 적용한 Android APP 파일에는 서명(Signing) & 정렬(zipalign)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서명(Signing)되지 않은 파일은 디바이스에 설치되지 않습니다.
정렬(zipalign)되지 않은 파일은 마켓에 등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mazon Appstore의 경우 정렬되지 않은 파일을 등록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마켓에서 제공하는 DRM 기능을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부가 기능 페이지의 Used Market DRM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Google Play Console에서 제공하는 Google Play App Signing 기능을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부가 기능 페이지의 Used Google Play App Signing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앱 빌드 시 적용하신 APK Signature Scheme v1 또는 v2에 따라 jarsigner 혹은 apksigner를 이용하여 서명해야 합니다.
     ( 앱의 Signature Scheme Version 확인 방법 및 APK Signature Scheme V2용 참고 자료 )
     ( APK Signature Scheme V1용 참고 자료 )
  AAB(Android App Bundle) 파일은 정렬이 필요없으며 jarsigner로 서명만 진행하면 됩니다.


jarsigner 이용 - APK Signature Scheme v1

  1. 1. [jarsigner 파일] [jarsigner 옵션] [키스토어 파일 Path] [사이닝 할 APP의 Path] [키 생성 시 만들었던 사용자의 alias_name]

    ex) jarsigner -verbose -sigalg SHA1withRSA -digestalg SHA1 -keystore C:\my-release-key.keystore C:\LIAPP_with_APP.apk LOCKINCOMPANY

    SIGNING

    2. 암호 입력

    3. [zipalign 파일] [zipalign 옵션] [zipalign 할 APP의 Path] [zipalign 된 APP의 Path]

    ex) zipalign -f -v 4 c:\LIAPP_with_APP.apk c:\LIAPP_with_APP_zipalign.apk

    ZIP ALIGN

apksigner 이용 - APK Signature Scheme v2 이상

  1. 1. [zipalign 파일] [zipalign 옵션] [zipalign 할 APP의 Path] [zipalign 된 APP의 Path]

    ex) zipalign -f -v 4 c:\LIAPP_with_APP.apk c:\LIAPP_with_APP_zipalign.apk

    ZIP ALIGN

    2. java -jar [apksigner.jar Path] sign -v --out [서명후 저장될 apk의 Path] --ks [키스토어 파일 Path] --ks-key-alias [키 생성 시 만들었던 사용자의 alias_name] [사이닝 할 APP의 Path]

    ex) java -jar D:\android\sdk\build-tools\lib\apksigner.jar sign -v --out C:\LIAPP_with_APP_signed.apk --ks C:\my-release-key.jks --ks-key-alias LOCKINCOMPANY C:\LIAPP_with_APP_zipalign.apk

    SIGNING

    3. 암호 입력

서명(Signing)과 zip 정렬(zipalign)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안드로이드 개발자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글 사이닝 가이드
구글 zipalign 가이드

앱 등록/선택

LIAPP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앱을 등록해야 합니다.
앱 등록은 버튼을 클릭하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작은 경우 버튼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버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버튼을 클릭하여 앱 등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Register App
2. OS 리스트에서 “안드로이드”를 선택합니다.
Register OS
3. APP NAME을 입력합니다.
    APP NAME은 다수의 앱을 등록할 때 앱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Package name 입력을 권장합니다.
    APP NAME은 20자까지 입력이 가능합니다.
Register App Name
4. APP 파일을 등록합니다.
Register App file
APP 파일 선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a) 버튼을 눌러 업로드할 파일을 선택
     b) 영역에 파일을 직접 끌어놓기
5. 버튼을 눌러 APP 파일 분석을 진행합니다.
*Analyze 자세히 보기...
Analyze App file
6. APP 파일 분석 결과를 확인하고 보호할 Class 옵션을 설정합니다. 기본으로 패키지 명과 같은 Class가 선택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선택된 Class만 보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추가로 보호가 필요한 Class가 있는 경우 해당 Class를 선택한 후 버튼을 누릅니다.
*Class Protection 자세히 보기...
Class Option
Google Play App Signing을 이용하는 경우 옵션을 설정하고 버튼을 누릅니다.
Google Play App Signing을 이용하는 경우에만 선택합니다.
*Google Play App Signing 자세히 보기...
Google Play App Signing

APP 파일의 구성에 따라 라이브러리와 Unity 엔진 보호 옵션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NLP(Native Library Protection) 자세히 보기...
Library Option
*Unity Protection 자세히 보기...
Unity Option
7. 앱 등록이 완료되면 PROTEC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iOS 앱 보호 관련 문의사항은 support@lockincomp.com 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Analyze APP
APP 파일을 등록하고 분석합니다.
APP 파일을 분석하여 APP의 구성에 최적화된 보호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된 옵션은 저장되어 혹은 이용 시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APP 파일을 등록하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로그인 후 왼쪽에 보이는 버튼을 클릭하여 앱 등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OS 선택 후 APP 이름을 입력합니다.
3. 버튼을 누르거나 영역에 파일을 직접 끌어 놓기로 APP 파일을 등록합니다.
4. 버튼을 눌러 APP 파일 분석을 진행합니다.
Analyzing
5. 분석 결과를 확인하고 보호할 옵션을 설정합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단계로 이동합니다.
    (1) Class 보호 설정
Analyze Result
Class Result
    (2) Google Play App Signing 설정
Google Play App Signing Setting
Google Play App Signing Confirm
    (3) NLP 설정(보호할 수 있는 파일이 있는 경우에만 표시됨)
NLP Setting
NLP Confirm
    (4) Unity 보호 설정(Unity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표시됨)
Unity Setting
Unity Confirm
    (5) 보호 옵션 확인
Analyze Complete

분석 결과 화면에서는 다음 기능들에 대한 옵션 확인과 설정을 제공합니다.
*Class Protection
보호가 필요한 Class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패키지 명과 동일한 Class가 선택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선택된 Class만 보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Google Play App Signing
Google Play App Signing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Google Play App Signing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체크합니다.

*NLP(Native Library Protection)
Native Library를 사용하는 경우에 표시됩니다.
보호가 필요한 Native Library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Unity Protection
Unity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에 표시됩니다.
Unity 엔진을 보호하려면 체크합니다.
Select App
LIAPP을 적용하기 전 앱을 먼저 선택해야 합니다.
앱 선택은 로그인 후 왼쪽에 보이는 선택 상자를 클릭하면 됩니다.
등록된 앱이 없는 경우 앱 등록을 먼저 진행해야 합니다.

1. OS 리스트에서 OS를 선택합니다.
2. APP 리스트에서 앱을 선택합니다.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작은 경우 선택 상자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선택 상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lete App
아이콘을 눌러 등록된 앱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삭제할 앱을 선택합니다.
2. 휴지통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앱이 삭제됩니다.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작은 경우 휴지통 모양의 아이콘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휴지통 모양의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TECT

PROTECT
PROTECT 페이지는 앱 파일에 LIAPP을 적용하는 페이지 입니다.
로그인 후 왼쪽에 보이는 메뉴에서 “PROTECT”를 클릭하면 PROTEC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LIAPP을 적용하여 앱을 보호하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
    (1) OS와 APP 이름 선택
    (2) 파일 등록
    (3) 혹은 버튼 클릭
 주의 : 티켓을 보유한 경우 “PROTECT”를 클릭하면 티켓이 사용되므로 “PROTECT” 이용 전 반드시 “TEST”를 먼저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OS와 APP 선택 시 마지막으로 저장한 설정이 자동으로 적용되며 저장되어 있는 설정은 각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기능 옵션을 변경하려면 각 페이지에서 설정을 변경하고 SAVE 한 후 PROTECT 페이지에서 앱 파일을 등록하면 됩니다.
*CODE 보호 페이지
*APP 보호 페이지
*부가 기능 페이지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작은 경우 “PROTECT” 메뉴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PROTECT”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lect App
LIAPP을 적용하기 전 앱을 먼저 선택해야 합니다.
앱 선택은 왼쪽에 보이는 선택 상자를 클릭하면 됩니다.
등록된 앱이 없는 경우 앱 등록을 먼저 진행해야 합니다.

1. OS 리스트에서 OS를 선택합니다.
2. APP 리스트에서 앱을 선택합니다.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작은 경우 선택 상자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선택 상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gister App file
보호하려는 APP 파일을 등록합니다.
APP 파일을 등록하기 전에 우선 OS 및 APP 선택이 완료되어 있어야 합니다.
APP 파일 등록 후 OS 및 APP 선택을 하면 페이지가 새로 고침 되면서 APP 파일을 다시 등록해야 합니다.

등록할 APP 파일 선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버튼을 눌러 업로드할 파일을 선택
      영역에 파일을 직접 끌어놓기

 주의 : 선택된 APP과 등록할 APP 파일이 다른 경우 보호 옵션이 달라질 수 있으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LIAPP을 무료로 적용해보고 기능 및 호환성을 미리 확인해 볼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적용 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티켓이나 라이선스가 없어도 LIAPP을 적용할 수 있음
     LIAPP ON-SITE 기능이 제공됨
     적용된 APP은 2일간 사용할 수 있으며 2일 후에는 실행되지 않음
티켓이나 라이선스를 이용하여 정식으로 LIAPP을 적용하는 기능입니다.
보유하고 있는 티켓이나 라이선스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적용 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티켓을 이용하는 경우 적용할 때 마다 1장씩 사용됨
     티켓을 이용하는 경우 LIAPP ON-SITE 기능만 적용할 수 있음
     라이선스를 보유한 APP의 경우 유효기간동안 횟수에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음
     보유한 라이선스의 종류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기능에 차이가 있음(ON-SITE, BUSINESS)
     적용된 APP은 제한없이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

 주의 : 티켓을 보유한 경우 PROTECT를 클릭하면 티켓이 사용되므로 PROTECT 이용 전 반드시 TEST를 먼저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CODE 보호

CODE PROTECTION
CODE 보호 페이지는 APP에서 사용되는 CODE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로그인 후 왼쪽에 보이는 메뉴에서 “CODE 보호”를 클릭하면 CODE 보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ODE 보호 페이지에서 APP을 선택하거나 APP 선택 후 CODE 보호 페이지로 이동하면 저장되어 있는 설정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각 기능은 옵션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스위치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필수 옵션 제외)
: 필수 옵션으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 Off 상태이며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기능이 적용됩니다.
2. 텍스트 입력
텍스트 입력란에 보호가 필요한 Class명이나 파일명을 입력하고 ADD 버튼을 누르면 항목이 추가됩니다.
리스트 상자에 등록되어 있는 항목이 표시됩니다.
삭제할 항목을 선택하고 DELETE 버튼을 누르면 항목이 삭제됩니다.

설정을 변경한 후 페이지 상단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된 내용이 저장됩니다.
버튼을 누르지 않고 페이지를 이동하면 변경한 내용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주의 : APP 선택 후 설정을 확인하고 변경해야 합니다. 선택된 APP이 없는 경우 설정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CODE를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기능 명을 클릭하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ass Protection ─ 클래스 보호
앱이 사용하는 클래스를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앱이 사용하는 클래스를 보호함으로써 정보 유출 및 소스 코드의 분석을 방지합니다.

*Source Code Encryption ─ 소스 코드 암호화
앱의 소스 코드를 암호화하는 기능입니다.
소스 코드를 암호화하여 중요 코드를 분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앱의 구조 및 중요 정보를 보호합니다.

*String Encryption ─ 스트링 암호화
소스 코드에 선언되어 있는 문자열을 암호화하는 기능입니다.
소스 코드 내에 선언되어 있는 문자열을 암호화 함으로써 중요한 정보를 보호합니다.

*Unity Protection ─ 유니티 엔진 보호
앱이 사용하는 Unity 엔진을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사용자가 생성한 중요 Unity 코드를 보호하여 앱의 소스 코드 유출 및 분석을 방지합니다.

*Anti-Repackaging ─ 재포장 방지
앱이 재포장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악의적인 목적으로 앱을 수정한 후 배포를 위해 하는 행위인 재포장을 방지합니다.

*NLP(Native Library Protection) ─ 네이티브 라이브러리 보호
JNI를 이용한 라이브러리를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앱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를 보호함으로써 핵심 정보 유출을 방지합니다.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작은 경우 “CODE 보호” 메뉴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CODE 보호”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ass Protection은 앱이 사용하는 클래스를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앱이 사용하는 클래스를 보호함으로써 정보 유출 및 소스 코드의 분석을 방지합니다.

보호할 클래스를 선택하여 암호화 할 수 있습니다.
소스 코드의 모든 클래스를 암호화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픈소스이거나 공개되어도 문제가 없는 클래스까지 보호하면 불필요한 시간과 자원이 소모됩니다.
보호가 필요한 클래스만 선택하여 암호화하면 복호화 시간이 단축되고 앱의 실행 속도가 향상됩니다.
회원님이나 회원님의 회사에서 직접 작성한 클래스 만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항목을 선택한 후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이 변경됩니다.
텍스트 입력란에 보호가 필요한 Class명을 입력하고 ADD 버튼을 누르면 항목이 추가됩니다.
특정 Class의 하위 Class를 모두 보호하려면 *를 사용하면 됩니다.(예: com.package*)


리스트 상자에 등록되어 있는 Class명이 표시됩니다.
삭제할 Class명을 선택하고 DELETE 버튼을 누르면 삭제됩니다.

주의 사항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클래스만 추가해 주세요.(외부 library, SDK 제외)
   클래스명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입력해야 합니다.
   보호할 클래스가 많아지면 앱의 실행 속도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ource Code Encryption은 앱의 소스 코드를 암호화하는 기능입니다.

마켓을 통해 설치한 앱의 소스 코드는 간단한 방법으로 누구나 보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난독화를 적용한 앱인 경우 일부 내용은 쉽게 볼 수 없지만 구조는 파악이 가능합니다.
소스 코드가 노출되면 해킹을 당하기 쉽고 악의적인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LIAPP은 소스 코드를 암호화하여 중요 코드를 분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앱의 구조 및 소스코드 내 중요 정보를 보호합니다.

필수 옵션으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String Encryption은 소스 코드에 선언되어 있는 문자열을 암호화하는 기능입니다.

보호 과정을 거치지 않은 문자열은 쉽게 읽을 수 있는 평문 형태입니다.
이러한 문자열 중에는 민감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LIAPP은 소스 코드 내에 선언되어 있는 문자열을 암호화 함으로써 중요한 정보를 보호합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String Encryption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String Encryption 기능이 적용됩니다.
Unity Protection은 앱이 사용하는 Unity 엔진을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앱이 Unity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생성한 중요 Unity 코드를 보호하여 앱의 소스 코드 유출 및 분석을 방지합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Unity Protection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Unity Protection 기능이 적용됩니다.
Anti-Repackaging은 앱이 재포장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일반적인 Android 앱은 decompile 이라는 과정을 통해 앱의 포장을 제거한 뒤 내용을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수정된 내용을 저장하고 정상적인 앱인 것처럼 다시 포장하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APP은 악의적인 목적으로 앱을 수정한 후 배포를 위해 하는 행위인 재포장을 방지함으로써 수정된 앱이 배포되고 확산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Anti-Repackaging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Anti-Repackaging 기능이 적용됩니다.
NLP는 JNI를 이용한 라이브러리를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앱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를 보호함으로써 핵심 정보 유출을 방지합니다.

보호할 라이브러리를 선택하여 암호화 할 수 있습니다.
모든 라이브러리를 보호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픈소스이거나 공개되어도 문제가 없는 라이브러리까지 보호하면 불필요한 시간과 자원이 소모됩니다.
회원님이나 회원님의 회사에서 직접 작성한 라이브러리 만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항목을 선택한 후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이 변경됩니다.
텍스트 입력란에 보호가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명을 입력하고 ADD 버튼을 누르면 항목이 추가됩니다.


리스트 상자에 등록되어 있는 라이브러리 파일명이 표시됩니다.
삭제할 파일명을 선택하고 DELETE 버튼을 누르면 삭제됩니다.

주의 사항
   보호할 라이브러리 파일명만 추가해야 합니다. (예: library.so)
   파일명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입력해야 합니다.
   보호할 라이브러리 파일이 많아지면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APP 보호

APP PROTECTION
APP 보호 페이지는 APP을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로그인 후 왼쪽에 보이는 메뉴에서 “APP 보호”를 클릭하면 APP 보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APP 보호 페이지에서 APP을 선택하거나 APP 선택 후 APP 보호 페이지로 이동하면 저장되어 있는 설정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필수 옵션 제외)
: 필수 옵션으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 Off 상태이며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기능이 적용됩니다.
설정을 변경한 후 페이지 상단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된 내용이 저장됩니다.
버튼을 누르지 않고 페이지를 이동하면 변경한 내용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주의 : APP 선택 후 설정을 확인하고 변경해야 합니다. 선택된 APP이 없는 경우 설정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APP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기능명을 클릭하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nti-Debugging ─ 디버깅 차단
디버깅을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디버깅을 이용하여 앱의 동작 방식을 분석하는 동적분석(dynamic analysis)을 방지합니다.

*Anti-Tamper ─ 위/변조 차단
위/변조를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앱의 변조나 변조의 징후를 탐지하고 차단합니다.

*Memory Protection ─ 메모리 보호
메모리를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앱 실행 중 메모리에 대한 인가되지 않은 접근을 차단하여 memory dump 및 memory data 변조를 방지하여 중요 Data를 보호합니다.

*Rooting Detection ─ 루팅 탐지
루팅된 디바이스를 탐지하는 기능입니다.
앱의 안전한 동작에 위협을 받을 수 있는 루팅된 디바이스에서 앱 실행을 차단합니다.

*Virtual Machine Detection ─ 가상 머신 탐지
가상 머신을 탐지하는 기능입니다.
앱의 안전한 동작에 위협을 받을 수 있는 가상 디바이스에서 앱 실행을 차단합니다.

*Hacktools Detection ─ 해킹툴 탐지
해킹툴을 탐지하는 기능입니다.
앱의 안전한 동작에 위협을 받을 수 있는 해킹툴을 탐지합니다.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작은 경우 “APP 보호” 메뉴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APP 보호”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nti-Debugging은 디버깅을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디버깅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앱의 동작 방식을 분석하고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LIAPP은 디버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앱 실행 프로세스에 접근하려는 시도를 탐지하고 차단하여 동적분석(dynamic analysis)을 방지합니다.

필수 옵션으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Anti-Tamper는 위/변조를 차단하는 기능입니다.
앱의 변조나 변조의 징후를 탐지합니다.
앱의 위/변조가 탐지되면 앱 실행을 차단합니다.

필수 옵션으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Memory Protection은 메모리를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앱 실행 중 메모리에 대한 인가되지 않은 접근을 차단하여 memory dump 및 memory data 변조를 방지하여 중요 Data를 보호합니다.
기능 적용 시 앱이 사용하는 메모리에 대한 위/변조 시도가 탐지되거나 메모리 파일에 접근을 시도하면 메모리를 초기화하고 앱을 종료합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Memory Protection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Memory Protection 기능이 적용됩니다.
Rooting Detection은 루팅된 디바이스를 탐지하는 기능입니다.
앱의 안전한 동작에 위협을 받을 수 있는 루팅된 디바이스를 탐지합니다.
기능 적용 시 루팅된 디바이스를 탐지하면 앱 실행을 차단합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Rooting Detection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Rooting Detection 기능이 적용됩니다.
Virtual Machine Detection은 가상 머신을 탐지하는 기능입니다.
앱의 안전한 동작에 위협을 받을 수 있는 가상 머신을 탐지합니다.
기능 적용 시 가상 머신이 탐지되면 앱 실행을 차단합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Virtual Machine Detection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Virtual Machine Detection 기능이 적용됩니다.

주의 사항
   가상 머신 탐지 기능을 적용하지 않았는데 가상 머신에서 동작하지 않는다면 루팅이 탐지된 경우입니다.
   많은 가상 머신들이 루팅되어 있거나 루팅된 환경으로 동작하고 있습니다.
   모든 가상 머신을 탐지하지 않으려면 루팅 탐지 기능도 함께 Off해야 합니다.
Hacktools Detection은 해킹툴을 탐지하는 기능입니다.
앱의 안전한 동작에 위협을 받을 수 있는 해킹툴을 탐지합니다.
기능 적용 시 해킹툴이 탐지되면 앱 실행을 차단합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Hacktools Detection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Hacktools Detection 기능이 적용됩니다.

부가 기능

ADDITIONAL FUNCTION
부가 기능 페이지는 앱 보호 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제공되는 기능은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왼쪽에 보이는 메뉴에서 “부가 기능”을 클릭하면 부가 기능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부가 기능 페이지에서 APP을 선택하거나 APP 선택 후 부가 기능 페이지로 이동하면 저장되어 있는 설정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기능이 적용됩니다.
설정을 변경한 후 페이지 상단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된 내용이 저장됩니다.
버튼을 누르지 않고 페이지를 이동하면 변경한 내용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주의 : APP 선택 후 설정을 확인하고 변경해야 합니다. 선택된 APP이 없는 경우 설정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기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기능명을 클릭하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sed Market DRM
APP Market의 DRM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Market DRM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LIAPP을 적용합니다.

*Used Google Play App Signing
Google Play App Signing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Google Play App Signing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LIAPP을 적용합니다.
Google Play App Signing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Play Console 고객센터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igning : https://support.google.com/googleplay/android-developer/answer/7384423

*사용자 정보(추후 제공 예정)
앱을 사용하는 고객의 통계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입니다.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부가 기능” 메뉴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부가 기능”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Used Market DRM은 APP Market의 DRM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기능 사용 시 CODE 보호 페이지의 Anti-Repackaging 기능이 Off 되며 Market DRM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LIAPP을 적용합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Used Market DRM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Used Market DRM 기능이 적용됩니다.

주의 사항
   CODE 보호, APP 보호 옵션 설정을 완료한 후에 변경해야 합니다.
   기능 적용 시 Anti-Repackaging 옵션이 Off 상태로 변경되며 비활성화 됩니다.
   APP 동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Market에서 제공하는 DRM 기능을 이용하려는 경우에만 적용해야 합니다.
Used Google Play App Signing은 Google Play Store의 Google Play App Signing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기능 사용 시 Google Play App Signing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LIAPP을 적용합니다.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Used Google Play App Signing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Used Google Play App Signing 기능이 적용됩니다.

주의 사항
   CODE 보호, APP 보호 옵션 설정을 완료한 후에 변경해야 합니다.
   APP 동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Google Play App Signing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만 적용해야 합니다.
사용자 정보는 앱을 사용하는 고객의 통계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입니다.
앱이 실행되는 환경에 대한 H/W와 S/W정보만 수집되며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통계정보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집하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CPU 정보
     MAC Address
     Device Model Name
     OS 버전
     SDK 버전
     LIAPP에서 생성한 고유 ID
     접속 정보
     위협 탐지 정보

스위치를 클릭하면 옵션이 변경됩니다.
: Off 상태이며 사용자 정보 기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On 상태이며 사용자 정보 기능이 적용됩니다.
※ 사용자 정보 기능과 통계정보 페이지는 추후 제공할 예정입니다.

HISTORY

HISTORY
HISTORY 페이지는 LIAPP으로 보호한 내역을 확인하는 페이지 입니다.
로그인 후 왼쪽에 보이는 메뉴에서 “HISTORY”을 클릭하면 HISTORY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ISTORY 페이지에서는 LIAPP으로 보호한 앱 정보를 확인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최근 3일간의 정보가 제공됩니다.
     적용한 LIAPP 옵션을 확인하고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업로드한 파일이 아닌 LIAPP으로 보호한 파일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적용 후 3일이 지난 파일은 자동으로 삭제되며 정보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표시되는 날짜와 시간은 UTC를 사용합니다.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작은 경우 "HISTORY" 메뉴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HISTORY"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제

결제 페이지는 구매/결제와 관련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 입니다.
상단 메뉴에서 “결제”를 클릭하면 결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페이지 상단에는 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있는 티켓과 라이선스 목록이 표시됩니다.
각 상품 우측에 있는 버튼을 클릭한 후 약관에 동의하시면 주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PRODUCT
 부가세(VAT) 별도 금액으로 결제 시 10%의 부가세(VAT)가 포함됩니다.


하단에는 결제 정보가 표시됩니다.
구매내역, 이용권내역, 라이선스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시되는 날짜와 시간은 UTC를 사용합니다.
PAYMENT
티켓은 소모성 상품으로 LIAPP을 적용할 때 마다 1장이 필요합니다.
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있는 티켓은 5종류 입니다.
     ON-SITE 1 티켓 :
     ON-SITE 3 티켓 :
     ON-SITE 5 티켓 :
     ON-SITE 8 티켓 :
     ON-SITE 10 티켓 :

각 상품 우측에 있는 버튼을 클릭한 후 약관에 동의하시면 주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TICKET
 부가세(VAT) 별도 금액으로 결제 시 10%의 부가세(VAT)가 포함됩니다.

사이트에 표시되지 않은 별도 수량의 티켓을 구매하시려면 상단의 “CONTACT”를 이용하시거나 회사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Monthly License는 기간제 상품으로 유효기간 동안 횟수에 제한없이 LIAPP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유효기간은 결제일로부터 1개월입니다.(예 : 2017년 12월 25일 구매 시 2018년 1월 25일까지 사용 가능)
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있는 License는 2종류 입니다.
     LIAPP On-Site : LIAPP On-Site 기능을 1개월 간 사용가능
     LIAPP Business : LIAPP Business 기능을 1개월 간 사용가능

각 상품 우측에 있는 버튼을 클릭한 후 약관에 동의하시면 주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LICENSE
  부가세(VAT) 별도 금액으로 결제 시 10%의 부가세(VAT)가 포함됩니다.
사이트에 표시되지 않은 별도 기간의 라이선스를 구매하시려면 상단의 “CONTACT”를 이용하시거나 회사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 상품 우측의 버튼을 클릭한 후 약관에 동의하시면 결제 정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PURCHASE TICKET
    결제 금액은 10%의 부가세(VAT)가 포함된 금액입니다.
주문서를 확인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작성한 내용은 결제를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며 저장되지 않습니다.
주문서에 작성할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결제 금액 : 선택한 상품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 결제자 이름 : 결제하는 분의 이름을 입력해주세요.
   • 결제자 Email : 입력한 메일주소로 결제 안내 메일이 발송됩니다.
   • 결제자 연락처 : 결제하는 분의 전화번호를 입력해주세요.
   • 상품명 : 구매하려는 상품이 맞는지 확인해주세요.

결제 정보 입력 후 버튼을 누르면 결제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Monthly License는 등록된 앱이 있어야 구매가 가능하므로 등록된 앱이 없는 경우 앱 등록을 먼저 진행해야 합니다.
*앱 등록방법 자세히 보기...

Monthly License 상품 우측의 버튼을 클릭한 후 약관에 동의하시면 앱 선택 화면이 표시됩니다.
APP SELECT
라이선스를 적용할 앱을 선택한 후 “NEXT” 버튼을 누르면 결제 정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PURCHASE MONTHLY LICENSE
    결제 금액은 10%의 부가세(VAT)가 포함된 금액입니다.
주문서를 확인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작성한 내용은 결제를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며 저장되지 않습니다.
주문서에 작성할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결제 금액 : 선택한 상품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 결제자 이름 : 결제하는 분의 이름을 입력해주세요.
   • 결제자 Email : 입력한 메일주소로 결제 안내 메일이 발송됩니다.
   • 결제자 연락처 : 결제하는 분의 전화번호를 입력해주세요.
   • 상품명 : 구매하려는 상품이 맞는지 확인해주세요.

결제 정보 입력 후 버튼을 누르면 결제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사용기한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Monthly License 구매 시 주의사항
     다른 종류의 License를 구매하시는 경우 기존 License에 대한 환불은 불가능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종류의 License를 구매하시는 경우 남은 기간을 신규 License에 합산 처리는 불가능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LIAPP On-Site License를 사용 중 LIAPP Business License를 구매하시면 기존 License는 무시되고 새로 구매한 License가 활성화되며 이로 이한 기존 License에 대한 환불은 불가능합니다.
     LIAPP Business License를 사용 중 LIAPP On-Site License를 구매하시면 LIAPP On-Site License가 추가되지만 기존 License 기한까지는 LIAPP Business 기능이 적용되며 이후 LIAPP On-Site 기능이 적용됩니다.
     사용기한이 만료되지 않은 2종류의 License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앱의 경우 LIAPP Business 기능이 우선 적용됩니다.
구매내역, 이용권내역, 라이선스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시되는 날짜와 시간은 UTC를 사용합니다.
PAYMENT
*구매내역
상품 구매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용권내역
티켓의 구매, 획득,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 현황
유효한 라이선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AYMENT DETAIL
상품을 구매한 내역입니다.
구매일, 주문 번호, 주문 상품, 결제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시되는 날짜와 시간은 UTC를 사용합니다.
TICKET DETAIL
이용권(TICKET) 내역입니다.
이용권(TICKET)의 구매, 획득, 사용 등 수량 변경 내역과 사용 가능한 티켓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시되는 날짜와 시간은 UTC를 사용합니다.
LICENSE DETAIL
사용 가능한 라이선스 현황입니다.
라이선스 종류, 라이선스 앱 정보, 유효 기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시되는 날짜와 시간은 UTC를 사용합니다.

쿠폰사용

쿠폰은 일회성 무료 결제 수단으로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TICKET 쿠폰
     쿠폰에 기입된 TICKET 수량만큼 LIAPP ON-SITE 기능 적용 가능

  MONTHLY 쿠폰
     [LIAPP On-Site], [LIAPP Business]
     쿠폰에 기입된 기간동안 해당 기능 사용 가능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쿠폰 사용이 제한됩니다.
     이미 등록된 쿠폰인 경우
     이전에 등록한 적이 있는 쿠폰과 같은 종류인 경우
     Monthly License를 보유중이거나 구매한 이력이 있는 경우(MONTHLY 쿠폰만 해당)
쿠폰은 이벤트로 제공되는 쿠폰과 웹 사이트 쿠폰이 있습니다.
     이벤트 제공 쿠폰 : 수시로 진행되는 이벤트와 오프라인 행사 참여 시 제공
     웹 사이트 쿠폰 : 블로그 컨텐츠에서 아래와 같은 LIAPP COUPON EVENT 버튼을 눌러 발급
         

LIAPP COUPON EVENT 버튼을 누르면 쿠폰 발급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COUPON ISSUE
   ※ 쿠폰 발급 페이지에서 발급 받을 수 있는 쿠폰은 1회 적용 ON-SITE TICKET 입니다.

쿠폰은 다음과 같이 발급하고 등록할 수 있습니다.
1. 쿠폰 발급 버튼을 누르면 Coupon number가 생성됩니다.
     
2. COPY 버튼을 눌러 쿠폰을 복사합니다.
     
3. 로그인 후 버튼을 누르거나 버튼을 누르면 쿠폰 등록 창이 표시됩니다.
COUPON ICON
 

4. 복사한 쿠폰을 붙여넣은 후 OK 버튼을 누르면 등록이 완료됩니다.
COUPON REGISTER
 


등록이 완료된 쿠폰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TICKET 쿠폰
     로그인 후 표시되는 페이지의 라이선스 현황에서 보유 티켓 수량 확인
     결제 페이지의 이용권내역에서 EVENT TICKET 등록 확인

  MONTHLY 쿠폰
     로그인 후 표시되는 페이지의 라이선스 현황에서 라이선스 확인
     결제 페이지의 라이선스 현황에서 라이선스 정보 확인
쿠폰 등록 및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주의해야 합니다.

  쿠폰은 종류별로 계정당 1회만 등록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등록된 쿠폰은 취소나 환불이 불가능하며 다른 계정에 재등록 할 수 없습니다.
  TICKET 쿠폰은 *ON-SITE 티켓과 동일하며 Business 기능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MONTHLY 쿠폰을 등록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앱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MONTHLY 쿠폰은 등록 즉시 라이선스가 활성화되며 쿠폰에 기입된 기간 이후 만료됩니다.
  MONTHLY 쿠폰은 등록시 선택한 앱에만 적용되며 다른 앱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Monthly License를 보유중이거나 구매한 이력이 있는 앱에는 MONTHLY 쿠폰을 등록할 수 없습니다.


MONTHLY 쿠폰을 등록하여 이용중 구매를 하시는 경우에는 특별히 아래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LIAPP On-Site] 쿠폰을 이용중이며 사용기한이 남아있는 경우
      같은 종류의 License 구매
         LIAPP On-Site License를 구매하시면 기존 라이선스 만료 후 1개월로 라이선스가 추가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4월 1일에 1개월짜리 쿠폰을 등록하고 4월 25일에 LIAPP On-Site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 기존 라이선스 기한 : 4월 1일 ~ 4월 30일
           - 구매한 라이선스 기한 : 5월 1일 ~ 5월 30일
           - 다음 정기 결제일 : 5월 25일
      다른 종류의 License 구매
         LIAPP Business License를 구매하시면 기존의 라이선스와 상관없이 LIAPP Business 라이선스가 새로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4월 1일에 1개월짜리 쿠폰을 등록하고 4월 25일에 LIAPP Business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 기존 라이선스 기한 : LIAPP On-Site 라이선스 4월 1일 ~ 4월 30일
           - 구매한 라이선스 기한 : LIAPP Business 라이선스 4월 25일 ~ 5월 25일
           - 다음 정기 결제일 : 5월 25일
           - 적용 기능 : LIAPP Business
      TICKET 구매
         라이선스 만료 후 PROTECT 적용 시 사용되며 ON-SITE 기능이 적용됩니다.

  [LIAPP Business] 쿠폰을 이용중이며 사용기한이 남아있는 경우
      같은 종류의 License 구매
         LIAPP Business License를 구매하시면 기존 라이선스 만료 후 1개월로 라이선스가 추가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4월 1일에 1개월짜리 쿠폰을 등록하고 4월 25일에 LIAPP Business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 기존 라이선스 기한 : 4월 30일 까지
           - 구매한 라이선스 기한 : 5월 1일 ~ 5월 30일
           - 다음 정기 결제일 : 5월 25일
      다른 종류의 License 구매
         LIAPP On-Site License를 구매하시면 기존의 라이선스와 상관없이 LIAPP On-Site 라이선스가 새로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4월 1일에 1개월짜리 쿠폰을 등록하고 4월 25일에 LIAPP On-Site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 기존 라이선스 기한 : LIAPP Business 4월 1일 ~ 4월 30일
           - 구매한 라이선스 기한 : LIAPP On-Site 4월 25일 ~ 5월 25일
           - 다음 정기 결제일 : 5월 25일
           - 적용 기능 : LIAPP Business로 4월 30일 까지 적용된 후 5월 1일부터 LIAPP On-Site로 전환
      TICKET 구매
         라이선스 만료 후 PROTECT 적용 시 사용되며 ON-SITE 기능이 적용됩니다.
회원가입 하신 이메일로 가입 축하 메일과 함께 축하 쿠폰이 발급되고 있습니다.
만약 메일을 확인하지 않으셨으면 '스팸 편지함'에 분류 되었을 수 있음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주십시오.

1. SPAM함으로 이동
START LIAPP gmail과 같은 경우 '더보기'를 click하여 숨겨진 항목들을 나열합니다.



START LIAPP 스팸함을 클릭하여 스팸함에 있는 메일을 조회합니다.

2. SPAM 체크 해제

START LIAPP
1. 발신자 정보 우측에 있는 '별'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
2. '스팸 해제' 또는 '스팸이 아님'을 클릭하여 메일을 '받은편지함'으로 이동